스타코덱 다운로드로 설치방법, 설치 시 설정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요즘은 동영상 플레이어가 재생을 못하는 파일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만 간혹 코덱이 없어서 재생을 못한다는 메시지가 뜨기도 합니다. 스타 코덱은 동영상과 음악 재생 및 모든 사운드 재생을 위해 필요한 대부분의 코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코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시 컴퓨터 상황에 맞는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설치 방법과 설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스타 코덱 다운로드하기
사이트 이동하시면 바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현재 2023년 9월 26일 버전 올라와 있는 상태입니다.
3가지 버전이 올라와 있는데 라이트 버전은 동영상 재생에 꼭 필요한 코덱만 들어있으며 파일의 용량이 적고, 컴퓨터 사양이 낮은 경우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클래식의 경우 오래된 코덱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코덱까지 들어 있어서 용량이 다른 파일에 비해서 더 큽니다.
여기서는 제일 위에 있는 41.9MB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하셔도 다운로드 사이트로 바로 이동합니다.
여기서는 설정을 굳이 손댈 필요는 없으며 기본 구성 그대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제일 아래쪽 광고로 스타코덱 제작지원이라고 있는 부분만 광고와 거리를 두고 싶으시다면 해제코록 합니다.
오디오 출력 부분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스피커에 따라 설정을 해주도록 합니다.
2.1 채널이면 2 프런트 + 1 리어 채널을 선택하시고, 3.1 채널 스피커를 이용 중이라면 3 프런트 + 1 리어 채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단순 스피커 사용자라면 그냥 변경하지 않은 원본 오디오 출력 사용 설정으로 그대로 쓰셔도 됩니다.
저사양 PC의 경우 동영상 재생시 버벅거리거나 원활한 재생이 안 되는 부분도 있다 보니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PC가 웬만한 동영상은 재생하는데 무리가 없다면 고수준 보정을 선택합니다.
스타코덱을 무료로 사용하시기가 미안 하시다면 아래 선택에 체크하고 설치하셔도 되고, 굳이 복잡하게 가기 싫으시다면 체크를 모두 해제하고 설치를 진행토록 합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이렇게 화면이 뜹니다. 후원하시는 것도 좋은 것이니 코덱설치 후 후원할 마음이 생겼다면 생각해 보시고 진행하시면 될 듯합니다.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코덱
코덱은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코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오디오 코덱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재생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합니다. 비디오 코덱은 비디오 신호에 작업을 수행합니다.
압축 품질에 따른 코덱의 분류
압축 품질에 따라 손실 코덱과 무손실 코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손실 코덱은 압축을 위해 원본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 정보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파일의 크기는 줄어들지만 재생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무손실 코덱은 원본 데이터 스트림의 모든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압축을 진행하여 재생 품질의 손실은 없으나 파일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품질이 더 중요한 경우 무손실 코덱이 좋습니다.
널리 사용되는 코덱의 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오디오 코덱: MP3, AAC, Vorbis, FLAC
- 비디오 코덱: H.264, MPEG-4, MPEG-2, WMV
스타코덱은 동영상, 음악 재생에 필요한 대부분의 코덱과 컨테이너 포맷의 필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타 코덱 설치 후 에러 FAQ
스타 코덱 사이트 이동하시면 더 상세한 정보 보실 수 있으며, 여기서는 사용 중 에러에 대해 간략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 클릭하시면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1. 동영상 재생이 안되거나 코덱이 없다고 뜰 때
재생에 필요한 코덱이 없어서 에러가 뜨는 경우도 있으나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 통합 코덱을 설치했거나 하면서 설정을 잘못했을 경우 오류 메시지가 뜨고 재생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설치했던 모든 코덱을 삭제한 후 스타 코덱만 다시 설치하여 파일을 재생해 보도록 합니다.
그 외 재생하고자 하는 파일의 문제일 수도 있으므로 코덱을 재설치한 후에도 에러가 난다면 동영상의 이상유무를 확인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2. 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
단순히 동영상 재생 시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경우인지, 아니면 컴퓨터 자체의 문제인지를 먼저 파악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컴퓨터 자체의 문제인지를 테스트하려면 화면 우측 아래 스피커 모양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소리]로 들어갑니다.
소리로 들어가면 컴퓨터 자체 사운드 파일을 재생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경고메시지를 선택하고 테스트를 눌러서 이상유무를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이상이 있다면 사운드 카드를 다시 설치해 보시고, 이상이 없는데도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다른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을 해봅니다.
재생이 된다면 다른 플레이어의 설정에 문제가 있거나 코덱지원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스타 코덱 설치를 다시 진행하여 설치 중 MP3 디코더를 선택하여 설치해 보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윈도는 MP3 코덱을 포함하고 있으나 특정 프로그램을 삭제하면서 지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영상이 안 나오는 경우 재생 방법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가 아닌 경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을 해봅니다. 영상이 나온다면 사용중인 프로그램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특정 파일 하나가 재생이 안된다면 파일의 문제일 수 있으나 모든 파일이 재생이 안된다면 플레이어의 설정에서 영상출력(비디오 렌더러)을 변경해 보면서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곰플레이어의 경우 환경 설정에서 출력방식을 변경해 보시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경우 도구, 옵션에서 성능 탭의 가속을 기본값으로 변경해 보도록 합니다.
4. 특정 프로그램에서 코덱이 없다고 나오거나 파일을 열 수 없을 때
코덱을 설치한 후 특정 동영상 파일에서 이러한 에러가 나오는 경우, 동영상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일이 깨졌거나 인코딩시 문제가 발생한 경우도 있습니다. 미디어 플레이어나 다른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해 보시고 재생이 계속 안된다면 동영상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하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5. 영상과 소리의 싱크가 맞지 않을 때
이러한 경우 동영상 파일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PC 사양이 저사양인 경우일 수 있으며, 코덱을 설치 시 저사양으로 선택한다던지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변경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윈도의 화면 왼쪽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그림을 누른 후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스타 코덱 선택 후 LAV 비디오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LAV 비디오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곳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Hardware Decoder to use 항목으로 이동하여 선택을 바꾸어가며 재생 유무를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6. 스타 코덱 광고 제거하기
설치 시 선택을 해제하고 설치하면 되는데, 제대로 못 보고 설치한 경우 광고가 자꾸 나와서 불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제어판으로 이동하여 앱 및 기능에서 스타 코덱 광고 관련 파일을 삭제하도록 합니다.
'유용한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루(Vrew), 쉽고 편한 영상 편집 프로그램, 유튜브 동영상 쇼츠 만들기 (0) | 2023.11.05 |
---|---|
노션(Notion) 다운로드 및 노션을 이용한 블러그 글쓰기 (0) | 2023.10.29 |
WintoHDD 윈도우 운영체제 그대로 다른 하드에 복제하기 (0) | 2023.10.08 |
고클린 소프트웨어로 PC 최적화하기 (0) | 2023.09.08 |
오토클릭(Auto Click) 설치 및 사용방법 (0) | 2023.09.03 |